[중국 경제 전망] 중국 시진핑 경제가 망해가는 3가지는?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 경제 전망] 중국 시진핑 경제가 망해가는 3가지는?

by 찬송아빠 2023. 8. 17.
728x90
반응형

중국의 3중 위기라는 것은 블룸버그는 " 살아나지 않는 소비" " 부진한 수출 " " 위태 위태한 부동산 시장" 등 시진핑 집권 이후 최대 위기가 올 수도 있다 라고 지적하였다. 중국정부는 부동산 개발회사(헝다, 완다, 컨츄리 가든 등 파산이나 디폴트 상화에 대하여 대안이나 탈출 구를 못 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기 이미지

중국 시진핑 경제는 2023년 현재 3중 위기에 있으며 어떠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최대위에 처해 있다. 중국이 개방을 한지 40년 가까이 되어 오면서 세계 경제적인 측면에서 기여해 왔으며, 그 수혜를 한국이 가장 많이 본 나라 중에 하나 인 것은 자명하며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의미 있는 성장을 하고 세계 경제 하나의 축으로 등장할 수 있어 던 것은 독재 국가이면서 전제국가 지만 엘리트들의 교체들과 새로운 인재들이 권력의 상층부가 이렇게 윤활 대고 있다는 것이 전제됐기 때문이며, 시진핑의 영구집권 체제로 들어가면서 활력이 많이 없어진 측면도 볼 수 있다. 

서양의 관점에서 보면 중국과 항구적인 관계를 맺을 수가 있는가 라는 생각에서 변화가 있지 안을까? 큰 이미지에서 세계가 중국을 좀 부정적으로 보기 시작했던 효과들이 여러 측면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글로벌 IB 라 든지 또 연구기관들이 그런 것들을 지적하고 있다. 중국의 3중 위기라는 것은 블룸버그는 " 살아나지 않는 소비" " 부진한 수출 " " 위태 위태한 부동산 시장" 등 시진핑 집권 이후 최대 위기가 올 수도 있다 라고 지적하였다. 

그 3중 위기 중 근거는 경제성장률이라는 측면에서 소비는 대국인 중국 자체 내의 내수소비가 가장중요한데 예상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통계들이 나오고 있다. 또 JP 모건 체이스가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6.4를 유지하다가 4.8로 내렸고, 일본, 영국 등에서도 하향하였다. 전반적인 증권 전문가 들의 이 정도는 어림도 없다는 식으로 반응이 없다.

그리고 중국의 부동산 대형회사들 헝다, 완다와는 다른 위안향 시누오션 대형 부동산 개발회사가 디폴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며, 부동산에서 금융시장으로 전이될 것인가? 에서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가 전혀 근거가 없는 견해가 아닌 게 중국의 자산관리를 하는 중농신탁에서 최근에 3,500억 위안 즉, 64조원 규모의 만기 상품의 상환을 연기를 하였다. 이 회사는 비구이한 등 부동산 업체 열 곳에 대규모 자산을 투자한 회사다. 

이미 금융계 방향으로 전이되어가고 있다는 보여며, 금융의 최종 소비자들은 중국의 국민들이다.  그래서 로이터 통신 같은데 에서는 지나친 인프라 투자로 발생한 중국의 부동산 거품이 꺼지고 이것이 부동산 위기로 갈 수도 있고 금융시장으로 전이될 위험이 있다 라고 기사화 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디플레이션입니다. 이것은 어떻게 보면 장기 중국의 경제에서 가장 위험한 요인이다. 중국 국가통제국의 발표한 7월 통계를 보면 소매 판매의 증가율이 2.5% 인데 시장 추정치가 4.5였고, 6월에 3.1에서 두 달 연속 한자리 수 증가액애 머불렀다. 또 CPI가 7월에 0.3% 하락하였다. " CPI 가 줄며 소비가 준다" 것은 디플레이션의 선행지수 징후가 보여지고 있다. 

또 중국의 합계 출산율이 1.09명으로 전 세계 1억명 이상 나라들 중 가장 낮은 것이다. 한국은 0.87명 이며, 중국도 0% 대의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러한 중국 경제 활력의 둔화라는 것은 일반적인 주기 사이클이 아닌, 로이터 통신은 " 현재 중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의 장기적 둔화 성장기에 들어선 중국은 90년대의 일본을 많이 달맡다" 중국 또한 일본의 " 잃어버린 30년" 을 중국도 격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기사화 했다. 실제로 중국 인구 통계 발표와 달리 중국의 인구는 줄고 있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성장의 컨셉, 부동산 개발을 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고용 창출이 되과 소비로 이어지는 모델 양상이었으나 중국 성장의 경로가 끝어질 가능성에 대해서 한국도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이것의 촉발된 것이 컨추리 가든의 부동산 문제가 발생된 것인데, 또 하나의 걱정은 "부의 효과" 즉 자산가격이 오르거나 내려 감에 따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의 효과라고 하는데, 부동산 자산가격이 싱크해 버리면 소비가 급냉하게 된다.

부동산 소유자들의 자기 자산 가격이 오르면 소비를 늘리지만 하락할 경우에는 소비를 줄이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이 이러한 중국의 위기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인데 장단점이 있으나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의 어려움은 대통령선거를 앞둔 측면에서 그다지 나쁘지 않아 미국의 피해는 최소화 하면서 중국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원할 것이다. 최근 1~2년 사이게 바이든 행정부에서 한 것들을 보면 그런 프레임을 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통계국은 청년실업률 통계조사를 하지 않고 있다. 유럽 EU 유럽중앙은행에서 그리스에 지원을 할 경우 가장 먼저 담보하라고 한 것이 국가 통계국의 독립이었다. 통계에 의해서 판단하고 계획, 투자도 이루어 지는 것이기 때문으로 국가가 조작을 하고 통계조사를 하지 않으면 문제가 있고 그 만큼 신뢰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정부 시스템에 대한 미숙함을 드러 내는 것이다.

액튼 경의 " 절대권력은 절대 부패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엘맅트 를 중심으로 유능한 사람들이 계속 교체되는 시스템이 지난 중국 경제의 40년 모형이며, 시진핑 영구집권 체제에서는 이러한 역동성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한국은 중국에 대해서 큰 부분을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경제는 바라봐야 하는 것이 안타까운 일이다.

#. 침몰하는 중국 경제, 탈출 카드가 없다. #. 한국의 경제는 희망적인 3가지: https://vo.la/l86j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