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상2 2023 부동산 전망, 금리인상, 채권시장, 부동산시장 유동성 위축 1, pf (project financing ) 부동산 프로젝트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돈을 빌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pf 는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고 위험 고 수익의 투자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pf 채권금리가 12% 이상이라면 시행사와 건설사의 더 이상의 사업 진행은 없다 라는 생각이 부동산 시장 같은 경우 토지매입 비용이 약 50%이고 건축비가 40% 나머지가 이익금인데 사업이 성공한다 하더라도 마이너스로 사실상 파산이다. 2, 부동산 pf 는 미래의 수익성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데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어 신규 대출은 커녕, 기존 대출 연장도 어려운 상황이 되는데, 금융권이 안고 있는 부동산 pf 대출은 112조 2천억 원으로 2008년도 금융위기 이후 최대 금액이며 그 부.. 2022. 11. 2. 아파트 안사요? , 부동산시장 걱정하지 마세요? 부동산 시장의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변동률부터 확인해 보면 1월 1주:0.03%, 2월 4주 : -0.03, 5월 1주 : 0.01, 8월 3주 : -0.09%, 아파트 매매 수급 지수 추이는 지수 100을 기준으로 해서 100 미만 이면 (공급 > 수요) 매수 심리 위축을 나타 내는데 공급이 많고 수요가 돌아 섰다는 의미다. 1월-서울 : 95.6, 전국 : 92.8, 8월-서울 : 89.3, 전국 : 83.7이다. 이런 현상은 3분기 부터 본격 하락하며 현재까지 하락하고 거래량은 서울 같은 경우 한 달에 일천 건 밖에 되지 않고 정체기에서 급락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초 급매 물외 거래가 전무하다. 이러한 경우 단기 미래에 거래량이 증가하더라도 하락장을 막을 수 없다. 금리인상과 물가상승 원자재 오일.. 2022. 9.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