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부동산 전망'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3 부동산 전망3

2023 부동산 전망, 금리인상, 채권시장, 부동산시장 유동성 위축 1, pf (project financing ) 부동산 프로젝트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돈을 빌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pf 는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고 위험 고 수익의 투자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pf 채권금리가 12% 이상이라면 시행사와 건설사의 더 이상의 사업 진행은 없다 라는 생각이 부동산 시장 같은 경우 토지매입 비용이 약 50%이고 건축비가 40% 나머지가 이익금인데 사업이 성공한다 하더라도 마이너스로 사실상 파산이다. 2, 부동산 pf 는 미래의 수익성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데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어 신규 대출은 커녕, 기존 대출 연장도 어려운 상황이 되는데, 금융권이 안고 있는 부동산 pf 대출은 112조 2천억 원으로 2008년도 금융위기 이후 최대 금액이며 그 부.. 2022. 11. 2.
2023 부동산 전망, 하락시장 시 이 곳에 투자하세요 10여 년에 걸쳐 22년 상반기까지 부동산 가격 상승이 크로나 19 나로 시작한 경기 침체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중국의 경제 침체, 국내의 금리인상으로 이어저 2022년 08월을 고점으로 급속희 하락하여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내. 외 수지 적자 등으로 부동산 전망은 급속한 하락시장이 이어질 것이다 1, 현 내. 외적 요인 속의 경제와 부동산 전망은 어떨까요? a.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새표이며, 현 기준금리가 2.5%이며 2022년 하반기 인상과 2023년 상반기 인상을 예고하해 3%가 되며, 은행 대출금리는 6~7%가 될 것이다, 부동산 정책 중 직접적 영향을 주는 금리인상과 경기침체로 수요자들의 하락하는 부담능력과 위축 심리까지 겹쳐 부동산 거래량이 말라버렸다, 정부는 하락의 연착륙을 위해 .. 2022. 10. 10.
2023 부동산 전망, 증가하는 전세사기 1. 21년 하반기 이후 부동산 시장은 세금 · 대출 등 각종 규제와 두 차례의 금리 인상 영향,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고점 인식이 확산되며 매수심리가 위축되고 거래량이 크게 감소한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급매 등을 중심으로 하락 거래가 이뤄짐에 따라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지방의 일부 지역은 가격 하락으로 전환되어 부동산 거래 침체기를 맞고 있다. 2.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거시경제변수로서 코로나위기를 대응하는 과정에서 저금리와 과잉 유동성이 발생하여 주거용 부동산으로 대표되는 아파트의 가격이 상승추세를 보였으나 점차적으로 정상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세 가격의 경우 매매 가격의 상승과 더불어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나, 하반기 이후 상승폭 둔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전세시장은 안정화 국면으로.. 2022. 9. 24.